많은 팬들이 착각하는 게 똑같은 크루이프이즘을 추구한다고 디테일이나 선수들의 위치 그리고 요구사항이 같다고 생각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만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축구는 그런 스포츠가 아니니까요. 이건 사키이즘도 똑같고 그런 방향성이 없는 전술마저 똑같은 맥락입니다. 겉으로 보기에 똑같이 볼을 소유하려고 하고 공격적인 방향성을 추구하는 축구여도 디테일은 다르기 마련이고 감독의 요구사항들도 아주 달라요.
이런 걸 단편적으로 구분하는 시선들이 되게 많던데 펩 과르디올라의 바르셀로나를 제일 칭찬하던 건 크루이프가 아니라 아리고 사키였어요. 게다가 펩은 축구 내외적인 면 모두 크루이프보단 사키를 더 많이 닮아있는 감독입니다. 사키는 알려져있는 것과 다르게 그 어떤 감독보다도 독단적이었고 이론에 미쳐있었고 선수들이 자신의 이론을 이해할 때까지 때려박았던 감독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살짝만 들어도 이거 펩 아냐? 싶죠?
그럼 바르셀로나의 전술적 중심은 여전히 메시인데 전반기 이것저것 시도하던 타타와 부임 첫 시즌의 루쵸를 제외하고 모든 감독들이 메시를 중앙으로 보내고 누가 봐도 둔해보이는 부스케츠를 중용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압박이 굉장히 강하게 들어오는 지점이나 하프 라인을 넘어서는 지점에서 어느 방향에서 볼이 굴러오든 ‘발’로 그 볼을 받아서 마찬가지로 방향을 가리지 않고 공격을 이끌 수 있는 포워드가 있다면 당연히 그 시너지를 최대로 낼 수 있게 하는 게 정답이고 그게 아직도 메시가 전술적 중심이고 바르셀로나가 의존증의 맥락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이게 ‘발’을 잘 쓰는 장신 포워드가 바르셀로나의 이상향이라고 불리는 이유기도 합니다.
- 그렇다면 저 지점들에서 힘을 낼 수 있게 원 터치나 투 터치 안으로 빠르게 볼을 넘겨주고 사전에 자리를 잡을 수 있는 피보테의 존재는 필수불가결할 수밖에 없습니다. 저 지점까진 볼이 빠르게 굴러가야하니까요. 부스케츠가 그 동안 해오던 건? 볼을 잡고 최대한 빨리 앞이나 옆을 보고 볼을 처리하고 하프 라인 전후에 있는 동료들이 측면이나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하프 라인 아래에서 종이나 대각선으로 나가는 롱패스가 줄어든 건 메시를 보유한 입장에선 필연적으로 거쳐가야하는 과정이었다는 소리입니다.
이걸 모를 리가 없는 상대는 보통 어떤 식으로 대응하게 되냐면 조금 더 전체적으로 압박을 강하게 하거나 특정 지점에서 누군가 (보통 부스케츠나 센터백들) 를 조지려고 작정하고 뛰거나 아예 벽 (흔히 말하는 두 줄 수비) 을 쌓아둬서 볼을 의도적으로 측면으로 유도합니다. 제가 이전에 말씀드렸던 것처럼 U자로 볼이 돌게 만드는 겁니다. 그럼 점유율이 90%여도 쓸모가 없거든요. 결국 이렇게 만들면 볼을 띄워야하거나 (눈이 썩는 롱볼과 크로스를 볼 시간) 메시가 있는 지점까지 볼이 빠르게 안 가니까 상대는 대형을 갖출 여유를 가진 채로 대응을 하게 되는 겁니다. 메시의 꾸역꾸역이 시작되고 더해서 하프 라인 근처까지 내려오기 시작하는 거죠.
이게 양 측면에서 기술적인 우위를 점해야하는 이유고 이게 바르셀로나의 결과물 자체를 바꾸는 선결 과제고 측면 퀄리티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그럼 누가 봐도 제일 필요한 건 네이마르인데 그리즈만을 원한 이유는 박스 근처까지 전진하기 전까지 원 터치나 투 터치로 속도를 죽이지 않으면서 동료들을 활용해서 전진할 줄 아는 선수기 때문입니다. 이미 베티스 전에서 보여줬죠? 실책이 아무리 많고 전환이 아무리 잦았어도 그게 옳은 거라고 얘기한 이유입니다. 어차피 모두가 기술적인 우위를 점할 수 없다면 주변 동료들을 잘 써먹으면서 넓게 뛰면서 계속 연결고리 역할을 해줘야 메시가 좁게 움직여도 힘을 쓸 수 있으니까요.
지금 발베르데가 데 용에게 원하는 건 이니에스타처럼 측면을 혼자서 때려부수면서 수비수들을 세네명을 달고 다니는 게 아니라 종횡을 넓게 돌아다니면서 수시로 들어오는 수비를 한두차례 벗겨내고 볼을 빠르게 처리하거나 전진을 하라는 겁니다. 그게 꼭 박스나 하프 스페이스까지 이어지지 않더라도요. 짧은 거리나 순간이어도 데 용의 그런 플레이들을 수비가 의식을 하는 순간 대형이 무너지거나 횡으로 흔들리고 메시나 그리즈만 또는 사람 아닌 놈에게 우리의 힘으로 인해서 공간이 생기니까요. 데 용은 분명히 여기서 무언가를 더 할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기에 그 이상을 할 수 있다고 판단한 걸테구요. 저 역시도 비슷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뿐입니다.
아르투르도 오사수나 전에서 좀 놀라운 모습을 보여줬는데 가장 큰 차이는 본인이 볼을 잡았을 때 판단이 빨라지고 방향을 가리지 않았다는 데에 있어요. 순간적으로 수비 대형이 움직이는 걸 보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아르투르 같은 경우엔 저게 오른쪽으로 가야만 가능하다고 생각했는데 어디서든 가능하다면 그에게 필요한 건 데 용처럼 종횡을 넓게 돌아다닐 수 있는 이해도와 한 시즌을 꾸준하게 뛸 수 있는 체력이겠죠.
이건 뒤나 앞에서 자신을 노리고 들어오는 선수를 아예 인지를 못하고 있거나 포지셔닝 자체를 이상하게 잡고 있는 부스케츠를 아직은 지켜봐야한다고 하는 것과도 연관되는데 왜 그러냐면 지금 볼 자체가 원활하게 굴러가지 않아서 확실히 하는 게 많아요. MSN 시절과 다르게 미드필드들이 시작부터 측면에 가있는 게 의도한 게 아니라 오사수나 전 첫 번째 실점같은 케이스를 줄이고자 사전 방지로 가는 거라는 걸 생각한다면 더더욱.
메시가 돌아오고 그리즈만이 측면에 관여하기 시작하면서 측면 투자를 조금 더 할 수 있는 상황이 됐을 때 그 순간이 부스케츠가 여전히 주전으로서의 효용성이 있는 선수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계속 이렇게 상대들이 원하는 양상으로 끌려다니면서 아슬아슬한 행보를 이어간다면 당연히 네이마르를 더 원하거나 부스케츠를 내보내거나 하겠죠.
네이마르는 정치적으로도 그들의 입지를 다지기 가장 안정적인 선택지이자 지금 바르셀로나가 축구 내적으로 영입하기에도 가장 이상적인 선수기에 피곤할 정도로 떠들 수밖에 없어요. 그냥 그러려니 하면 됩니다. 오면 올 거고 안 오면 또 안 오겠죠 뭐.
발베르데는 분명히 뭘 해야할 지는 알고 있어요. 근데 그걸 유의미하게 이끌어낼 수 있는 지는 메시가 돌아오고나서 판단할 수 있을 겁니다. 물론 늘상 말했듯 이 감독을 믿지는 않아요. 전 홍진호가 아니거든요. 3번은 안 당함.
'Football > Wri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소리 98 (12) | 2019.09.13 |
---|---|
잡소리 97 (34) | 2019.09.08 |
잡소리 95 (팜플로나 원정) (44) | 2019.09.01 |
라면을 끓여보자 (25) | 2019.08.30 |
잡소리 94 (35분부터 본 후기) (60) | 2019.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