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골부터 너무 땅으로 짧게 가는 것이 좋지 않다 판단하고 조치한 시메오네의 작전이었다 생각함. 1차전 대비 조금 더 루즈볼 싸움을 많이 만들고 움직임으로 승부를 보는 쪽에 가까웠다 보는데 제일 큰 건 모드리치 선발이었겠죠.
아무래도 따라가질 못하고 알아도 선수를 계속 놓치고 알아차리는 것도 과거에 비하면 너무 느려졌고. 당연히 아틀레티코가 승산이 있는 싸움이라 봤을 거임. 게다가 아센시오도 잘하고 있지만 일단 박고 보는 성향의 수비가 매우 짙은 편이라 최대한 지저분한 진흙탕 양상으로 끌고 가는 게 나을 거라 본 거겠죠.
측면 싸움도 1차전 중반까지와 다르게 과하게 걸지 않고 숫자만 밀리지 않는 선에서 적절하게 대응하면서 비니시우스, 호드리구, 음바페 등의 횡단만 철저하게 막으면서 횡으로 벽치는 것도 잘했음.
똑같이 측면 위주로 풀어나간 거 같지만 큰 차이는 엔드 라인을 1차전 대비 더 적극적으로 쓰려했고 가능하면 크로스를 낮게든 높게든 일단 갈기고 보는 식으로 했음. 슈팅도 선수들이 가능하면 쎄게 찼죠. 다 박스 안에서 수비할 때 놓치는 모드리치를 겨냥해 루즈볼까지 고려한 플레이들이었다고 봅니다.









후반전은 모드리치 공략을 너무 대놓고 하니 안첼로티가 그 부분을 조정했음. 문제는 추아메니가 카드를 들고 있었다는 거고 모드리치가 전반전 대비 상대적으로 더 적극적으로 뛰었다고 보는데 안정성이 조금 더 생겼다는 거 외에는 아무런 소득이 없었죠. 더 빨리 바꿨어야 했는데 너무 늦었다 봅니다.
전반전부터 모드리치가 계속 포지셔닝 빵꾸를 내는 바람에 벨링엄 동선도 관리가 아예 안 됐는데 이 부분까지 고려하면 교체는 더더욱 빨랐어야 했음. 이 부분을 조정하려면 발베르데가 무조건 중앙으로 가야 하니 교체들 자체는 매우 적절했다 보구요. 타이밍이 좋지 않았을 뿐임.



짚을 거는 물론이고 관찰할 것도 별로 많은 경기는 아니었음. 마드리드나 아틀레티코나 계속 얘기하던 것들의 연장선이었기에... 연장전부터는 졸려 죽을 뻔 했고... 승부차기 빼면 16강 1, 2차전 통틀어 제일 재미 없는 경기였던 거 같음.
마드리드는 하루 빨리 모드리치가 없어야 나머지 선수들 (특히 벨링엄) 이 더 건강하고 효율적으로 뛸 것 같고.
아틀레티코는 뭐 바르셀로나 팬으로선 랑글렛 사줬으면 좋겠지만 아틀레티코 입장에선 쟤 사면 절대 안 된다 정도? 그냥 초록불 때 건너면 되는데 무단횡단하다 안 내도 되는 벌금을 내게 만드는 그런 선수임. 그리즈만도 체력이 안 되는 게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