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소식이 안 나와서 확신은 못하겠지만 볼 차면서 물도 같이 튈 정도로 그지 같은 상황 (보면서 솔직히 어이없었음...) 에서 부상 없이 이겼다는 건 되게 다행이라고 보고 훈련 일정을 조정하던지 아니면 다음 경기에서 라인업을 살짝 변동을 주던지 할 거라서 이 부분은 일단 크게 걱정은 안 합니다. 선수로서 뛰어본 사람이 이런 요소들을 간과할 리가 없을 겁니다.
저번 경기랑 비교했을 때 선수들의 동선이 조금씩 조정됐는데 그리즈만이 우측면을 중심으로 움직이되 메시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포지셔닝을 그에 맞춰서 잡아줬는데 이런 조정으로 인해서 우측면에서도 순간적으로 볼을 잃었을 때나 상대가 측면을 활용해서 전진하려고 할 때 그에 대응하는 수비나 압박이 좋아졌습니다.
이렇게 측면에서 해내는 수비들은 여차하면 스로인을 만들어서 끊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볼만한 요소가 맞고 이게 측면을 활용해서 공수 양면을 해내는 게 효율적이라고 주장하는 이유입니다. 그동안 보기 힘들었던 측면으로 몰아서 롱볼을 유도해내고 미리 자리를 잡은 후방 선수들이 볼 소유권을 되찾아오는 장면들도 있었고. 후퇴를 최소화하면서 볼을 계속 소유한다는 건 바르셀로나 입장에선 어떻게 봐도 긍정적인 부분입니다.
메시를 웬만한 상황에선 압박의 시발점 (골키퍼를 향해 달려가는 그 움직임) 으로 삼을 것 같은데 계속 스위칭을 시도하고 있고 개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범위가 발베르데나 세티엔 시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호흡을 맞춰가면 점점 더 좋아지지 않을까 싶네요. 쿠만이 우직하게 밀고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저번 경기에서 드러난 좌우 밸런스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도 살짝 보였는데 저번 경기에 비해서 부스케츠가 훨씬 더 측면에 치우쳐서 움직였습니다. 부스케츠가 아닌 다른 선수가 이 동선에서 뛰었을 때도 이런 식으로 지시할 건지도 관전 포인트 중 하나일 테고 동시에 쿠티뉴와 데 용을 필드 위에서 최대한 많이 활용하려는 의도도 보이는데 쿠만이 선수들의 장단을 계속 고려하고 필드 위에서 적용하려고 시험해보려는 것 같습니다. 이건 쿠만 본인도 영입으로 새로움을 불어넣으면서 해결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고 있는 것 같아요. 전반기에 얼마나 틀을 완성시키느냐가 제일 중요하다고 했는데 그러면서 라이벌들과 차이를 벌리는 데도 성공한다면 쿠만 성향에 맞는 어린 선수들에겐 뜻밖의 기회가 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내부 보강의 가능성은 열리겠죠? 긍정 회로긴 한데 뭐 모르는 일이니까요.
이제 다른 시선으로 부정적인 얘기를 해보면 개인적으로 우려스럽게 바라보는 부분은 크게 나눴을 때 세 가지입니다.
1. 좌우 밸런스를 맞추려는 시도가 이번 경기에서 나왔는데 이미 데 용의 과부하에 대한 우려가 프리시즌부터 보이고 있음에도 쿠티뉴까지 해서 특정 선수들의 커버 범위가 어쩌면 더 넓어질 지도 모르겠다는 것.
전반전만 해도 데 용이나 쿠티뉴가 오른쪽을 향해 뛰어가거나 그 쪽에 있는 모습이 꽤 잡혔는데 쿠만은 메시가 넓게 돌아다니는 게 시즌 전체를 봤을 때 (메시의 남은 커리어를 봤을 때도) 결코 효율적인 모습이 아니라고 보고 있을 거에요. 그렇다면 다른 수를 찾아야 한다는 건데 여전히 이것저것 시도하고 있지만 보강이 없다고 했을 때 프야니치가 해결책이 되어주지 못한다면 시즌 내내 고민거리가 될 것 같습니다. 만나는 상대마다 분석하면서 바르셀로나가 장점을 살리면서 그에 맞게 대응하는 게 최선일 수도 있는데 사실 쉬운 일은 아닙니다. 평소에 이렇게 하다가 바르셀로나를 만나면 맞춤 대응을 들고 나오는 팀들도 꽤 되니까요. 쿠만이 답은 못 찾아도 그에 근접한 선택지를 찾을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2. 부스케츠와 알바가 보이고 있는 수비 상황 시에 문제들이 과연 시간이 지나면 해결이 되는 부분이냐는 것.
부스케츠는 움직이면서 수비를 할 때 본인이 먼저 좋은 포지셔닝을 못 잡으니까 반응이 느려서 대처가 안 될 때가 많습니다. 어쩌면 지금보다 빈도도 더 많아지고 안 좋아질 가능성도 있죠. 상대 팀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vs 바르셀로나 대응책이 발전할테니. 알바는 상대의 드리블에 너~~~~무 잘 속습니다. 지로나 전 후기 때도 지적한 부분인데 알바는 물론이고 부스케츠도 저런 건 첫 시즌부터 보였던 약점들이기 때문에 팀적으로 해결해야 하는데 세부적으로 이런 걸 공략할 능력이 되는 강팀들과의 경기에서 쿠만이 해결책을 내놓는다면 확신하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3. 그리즈만. 저번 시즌엔 어색한 자리에 뛰면서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다보니 습관이어도 이해가 됐고 기다려줄 수 있었는데 본인이 익숙한 자리에 가니까 다시 습관적으로 왼발이 나가면서 수비수들에게 스스로 읽히고 있다는 것.
그리즈만은 원투 터치 안에 플레이가 이뤄지면서 속도가 살아야 효율이 극단적으로 올라갑니다. 근데 투터치 이상의 플레이를 요구받을 때 습관적으로 왼발이 나가다보니까 수비 밀도가 높은 곳이나 측면에서 스스로 수비수들에게 읽힙니다. 대응하기 쉽게 플레이하고 있단 뜻이죠. 데 용의 패스를 받을 때도 나타났던 모습이고 이전에도 많이 말씀드렸던 부분이기도 한데 양 발을 잘 쓰거나 본인의 힘으로 무언가를 해결하는 선수는 아닙니다. 그래서 왔을 때도 메시의 보조자로서 메시의 효율을 끌어올려주는 데 좋은 선수라 봤던 거고 오늘 보여준 모습도 제가 입성 전부터 예상했던 그림과 유사한 모습이었죠. (메시의 움직임에 따라서 우측면과 중앙을 오가면서 스위칭)
근데 아무래도 다시 본인이 잘하고 많이 뛰던 위치에 가니까 플레이도 거기에 많이 맞춰져있습니다. 오른발을 지금보다 더 잘 쓸 수 있다면 그리즈만은 더 효율적으로 변할 건데 저번 시즌에도 이걸로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죠. 조금 나아지긴 해서 이번 시즌은 그 정도로 시간이 걸리진 않겠지만 자신감을 가질만한 계기는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이건 저번 시즌과 마찬가지로 주요 사항 중 하나가 될 것 같네요.
랑글렛이 퇴장당하자마자 뺀 건 퇴장 이후는 한 명이 없기 때문에 팀적인 움직임보다 개인 능력이 더 강조되기 마련이라 포워드들 중 본인의 힘으로 무언가를 해내는 건 쿠티뉴가 그리즈만보다 위니까 어쩔 수 없었다고 봅니다. 45분 동안 박혀서 수비를 시킬 양반도 아니고. 파티는 낫다 아니다를 논하기 전에 지금 흐름이 너무 좋아서 선수 본인에게 문제가 있는 게 아닌 이상 (체력적으로 지치는 기미가 보여서 뺄만한 상황도 아니었으니) 감독이 먼저 흐름을 끊는 짓을 할 리도 없구요.
쿠티뉴 얘기도 하고 싶은데 경합이 정말 좋아졌습니다. 예전에는 상대가 몸을 들이밀면서 팍 치면 바로 픽 쓰러졌는데 지금은 버티더라구요. 그리고 본인이 동료들을 보면서 상대 선수들 사이사이로 들어가면서 공간을 파주는 것도 바르셀로나는 물론이고 코바치 뮌헨에서도 웬만해선 보기 힘든 장면이었는데 짱개 폐렴 전후로 아예 다른 선수가 됐음. 보기 좋아요.
네투는 앞선에서의 압박이 좋은 팀을 만나면 사고 한 번 칠 것 같음. 아무리 봐도 판단이 너무 구림. 서브 키퍼라고 넘어갈 수준이 아닙니다. 심지어 약 한 달간 슈테겐이 없을 텐데 걱정이 안 될 수가 없음.
랑글렛은 랑글렛이 잘못한 거에요. 주심이 이상한 놈이어도 이미 카드 한 장 받았을 때 왜 받았는 지를 인지하고 플레이를 했어야 했는데 입성 시즌에도 이랬던 적이 있던 걸로 기억하는데 이건 억울해할 게 아닙니다. 심판 성향에 맞게 본인이 조심해야 할 때도 있다는 걸 좀 알았으면 좋겠네요.
'Football > Wri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소리 227 (세비야 전) (29) | 2020.10.05 |
---|---|
잡소리 226 (+ 살짝 잡담) (27) | 2020.10.02 |
잡소리 224 (10) | 2020.10.01 |
잡소리 223 (몇 가지) (14) | 2020.09.30 |
펩은 왜 자꾸 센터백 (또는 수비수를) 을 살까? (16) | 2020.09.30 |